미군정간에 한 일 정책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4:03
본문
Download : 미군정간에 한 일 정책비교.hwp
이후 9월 8일 인천에 미군상륙, 9월 9일 4시 30분 성조기가 높이 게양되면서 미군정기에 들어가게 되었다.
미군정간에 한 일 정책비교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미군정간에 한 일 정책비교.hwp( 95 )
레포트/인문사회
1. 미군부의 국가정비
2. 日本 에 대한 미군부의 정책
3. 한국(남한)에 대한 미군정의(定義) 정책
4. 마치며.
5. 참고한 문헌
1. 미군부의 국가정비
1945년 8월 14일 日本 천황의 ‘무조건 항복’이라는 발표를 끝으로 2차대전은 막을 내렸다. 이 점령기구에는 형식상 영국, 소련, china(중국) ,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참가하고 있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대부분 미국 및 G·H·Q가 점령정책을 결정하였고, 그 아래에 있는 日本 government 가 그 실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포고 제1호는 “북위 38선 이남의 조선영토와 조선인민에 대한 통치의 전 권한은 당분간 본관의 권한 하에 속한다…주민은 본관 및 본관의 권한하에서 발포한 명령에 즉각 복종하여야 하며, 점령군에 대한 모든…(省略)






설명
미군정간에한일정책비교
순서
미군정간에한일정책비교 , 미군정간에 한 일 정책비교인문사회레포트 ,
다.
① 전조선의 정치범, 경제범을 즉시 석방할 것.
② 조선의 수도인 경성에 3개월분의 식량을 확보할 것.
③ 치안의 유지와 건설사업에 아무런 간섭하지 말 것.
④ 조선의 추진세력인 학생들의 훈련과 청년의 조직화에 간섭하지 말 것.
⑤ 조선 내 각 사업장에 있는 日本 노무자들을 우리의 건설사업에 협력시켜줄 것.
이 조건을 수락한 조선총독부는 하지만 미군선발대가 비밀리에 도착, 미군이 진주하기까지 모든 체제를 변경하지 말고 계속하되, 정식 할복할 때 日本 통치기구를 그대로 미군에게 인계하라고 통고하였다. 미 맥아더 사령부에서는 ‘조선인민에게 고함’이라는 포고 제1호를 발포하였다. 점령 통치기구로서 맥아더 원수 아래에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와 대일이사회가 日本(日本 ) 東京(동경)에 설치되었고, 극동위원회가 위싱턴에 설치되었다. 이에 18일 오후에 여운형에 대한 행정권 이양 취소를 발표하고, 일단 인계하였던 신문사와 학교 등을 다시 접수하였다. 그리고 1945년 말, 연합군의 최고사령관 맥아더 원수가 아쓰기에 도착한 이후, 日本 은 연합국의 점령하에 들어갔다.
한국은 송진우, 여운형 2인에게 조선총독부로부터 government 의 이양을 권유받고 송진우는 거절을 여운형은 허락하면서 조선총독부에 5가지의 조건을 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