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7:24
본문
Download :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hwp
설명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580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84%EC%83%81%EC%9A%B4%EB%8F%99%ED%95%99%5D%20%EA%B1%B0%EA%B3%A8%ED%95%98%20%EA%B4%80%EC%A0%88%EC%9D%98%20%EC%83%9D%EC%B2%B4%EC%97%AD%ED%95%99-5802_01.jpg)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580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84%EC%83%81%EC%9A%B4%EB%8F%99%ED%95%99%5D%20%EA%B1%B0%EA%B3%A8%ED%95%98%20%EA%B4%80%EC%A0%88%EC%9D%98%20%EC%83%9D%EC%B2%B4%EC%97%AD%ED%95%99-5802_02_.jpg)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580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84%EC%83%81%EC%9A%B4%EB%8F%99%ED%95%99%5D%20%EA%B1%B0%EA%B3%A8%ED%95%98%20%EA%B4%80%EC%A0%88%EC%9D%98%20%EC%83%9D%EC%B2%B4%EC%97%AD%ED%95%99-5802_03_.jpg)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580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84%EC%83%81%EC%9A%B4%EB%8F%99%ED%95%99%5D%20%EA%B1%B0%EA%B3%A8%ED%95%98%20%EA%B4%80%EC%A0%88%EC%9D%98%20%EC%83%9D%EC%B2%B4%EC%97%AD%ED%95%99-5802_04_.jpg)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580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E%84%EC%83%81%EC%9A%B4%EB%8F%99%ED%95%99%5D%20%EA%B1%B0%EA%B3%A8%ED%95%98%20%EA%B4%80%EC%A0%88%EC%9D%98%20%EC%83%9D%EC%B2%B4%EC%97%AD%ED%95%99-5802_05_.jpg)
Download :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hwp( 78 )
레포트 > 의학계열
임상운동학,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순서
인간은 독특한 구조물인 두 발로 위치이동을 하는데 어떤 이유로 발을 다치게 되면, 걷거나 달리기할 때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런 현상이 장기간 계속 진행될 때는 하지, 척추나 골반 등의 자세변화에 effect을 주게 된다(황보 각 등, 1996 ; Rose와 Gamble, 1994). 이렇게 자주 일어나는 발목과 발의 문제들은 발의 복잡한 구조 때문이고, 그것은 과중한 체중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인체의 발은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거골하관절은 후족부에 속한다(Donatelli, 1990). 발의 관절 중에서 직접적으로 체중을 받는 관절이 거골하관절이기 때문에 본 글은 많은 발의 관절 중에서 거골하관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상가들이 발의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변형을 검진할 때 이 관절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아 거골하관절은 발목관절과는 달리 큰 가동범위로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양한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이런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이 마치 발목관절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는 오류를 우리는 자주 범하게 될 뿐만아니라,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을 설명(說明)할 때보다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을 유도해서 설명(說明)하는 것이 아니라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유도하면서 설명(說明)하기 때문에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인지 혼동스럽게 된다 그리고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용어도 학자와 분야마다 달리 표현해 왔고 아직까지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Smith 등, 1996), 일반적인 추세의 용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몇가지의 하지 및 발의 기능 검사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인간은 독특한 구조물인 두 발로 위치이동을 하는데 어떤 이유로 발을 다치게 되면, 걷거나 달리기할 때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런 현상이 장기간 계속 진행될 때는 하지, 척추나 골반 등의 자세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황보 각 등, 1996 ; Rose와 Gamble, 1994). 이렇게 자주 일어나는 발목과 발의 문제들은 발의 복잡한 구조 때문이고, 그것은 과중한 체중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 거골하관절은 중족관절과 함께 발과 발목의 잠김장치와 풀림장치를 조절하는 통합기구로써 작용하여 발의 움직임을 하지의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장치로써 작용한다. 그리고 거골하관절을 이루는 종골과 거골의 골화를 먼저 거론한 후, 발의 해부학과 거골하관절의 생체역학을 설명(說明)하기 위해 발의 축과 움직임을 알기 쉽게 거론하고, 발의 위치운동학적(kinematic) 및 힘운동학적(kinetic) 관점에서 발의 기능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