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정보, 언제 어디서나 분석 활용 가능해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2:23
본문
Download : 110915015324_.gif
먼저 ‘국가R&D 정보 공유체계 기반구축 컨설팅’ 사업을 이달 착수한다.
정부부처 課題 평가위원으로 제공되는 인력정보도 맞춤형으로 이뤄진다.
<표>클라우드 기반 국가R&D 정보 공유체계 구축 效果
Download : 110915015324_.gif( 93 )
다. 이용자들은 직접 analysis(분석) SW를 보유하지 않더라도 클라우드 기반으로 국가 R&D 정보를 analysis(분석) 할 수 있따
14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국가 R&D 정보 활용을 높이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공유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레포트 > 기타
국가 R&D 정보, 언제 어디서나 분석 활용 가능해져





국가 R&D 정보, 언제 어디서나 분석 활용 가능해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유체계가 구축되면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국가 R&D 정보를 이용할 수 있따 현재는 국가 R&D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 신청을 하고, 승인이 이뤄져야 가능하다. 손강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팀장은 “컨설팅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이용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올해 말까지 컨설팅을 완료하고 이르면 내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유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순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설명
국가 R&D 정보, 언제 어디서나 분석 활용 가능해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국가 R&D 정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포털 연계를 강화하는 方案도 마련한다. 정부부처 課題평가 인력 정보도 부처별 맞춤형으로 제공된다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책임연구원 등 약 4만명의 인력정보를 정부부처 課題 속성 에 맞게 다양한 기준으로 제공하는 方案을 검토하고 있따 현재는 부처 구분 없이 표준화된 10개 기준으로만 인력정보를 제공하고 있따
국가 R&D 정보, 언제 어디서나 분석 활용 가능해져
국가 R&D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도 있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국가 R&D 정보뿐 아니라 이를 analysis(분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도 제공할 방침이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국가 R&D 정보 활용도를 평가하고 改善한다는 방침이다.
일반인들도 30만건에 해당되는 국가 연구개발(R&D) 정보를 손쉽게 analysis(분석) , 활용할 수 있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