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교통정책분석을 위한 모형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9:45
본문
Download : 장기 교통정책분석을 위한.hwp
이러한 연구의 기본적 골격을 기초로한 정통적인 교통수요추정 4단계모형은 그 이후 전형적인 교통分析모형으로써 자리잡게되었다. 더우기 대규모의 교통시설건설 등은 주변지역의 활동체계에 장기적으로 지대한 effect(영향) 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교통과 활동체계간의 상호effect(영향) 관계를 정통적인 교통모형에서는 전혀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물론 단기적이고 국부적인 교통分析에있어서는 change(변화)가
I. 서 론
II. 교통-활동균형모형의 구조
장기 교통정책분석을 위한 모형개발
III. 주거지선정 모형
VII. conclusion(결론)
Download : 장기 교통정책분석을 위한.hwp( 69 )





장기 교통정책분석 주거지선정 모형 산업입지선정 모형 교통체계균형모형 / (장기 교통정책분석)
순서
VI. 교통체계균형모형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IV. 산업입지선정 모형
장기 교통정책분석 주거지선정 모형 산업입지선정 모형 교통체계균형모형 / (장기 교통정책분석)
V. 활동체계균형모형
장기 교통정책분석 주거지선정 모형 산업입지선정 모형 교통체계균형모형
다.
대규모 교통계획은 미국의 여러도시에서 1950-1960년에 걸쳐 수행되기 시작하였으며 그중 디트로이트 연구와 시카고 연구가 대표적인 것이다. 또한 통행분포 및 교통수단선택에 있어도 교통상태는 주어진 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여서 4단계 추정모형의 최종단계인 노선배정에서 구하여지는 통행상태와는 다른 값을 갖게되어 교통공급과 교통수요 사이의 실질적인 균형상태를 모형은 설명(說明)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형적인 모형이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통행선택행태의 단계적 통행의사결정은 현실 통행행태와 차이가 있다는 단점을 갖고있음은 이미 여러학자에 의해서 지적되어져 왔다 (Kanafani, 1983). 이러한 경직된 가정의(定義) 결과로 통행발생모형은 교통상태와는 관계없이 주어진 활동체계에의해 통행생성량 (trip production) 및 통행유인량 (trip attraction) 을 산출하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말해서 통행발생모형의 대부분이 교통상태를 함수에 포함하고 있지않기때문에 교통상태에따른 change(변화)를 전혀 모형이 반영하지 못하고 다만 예측된 사회경제지표에의해 통행발생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이다.